온맘 큐레이터
온맘 큐레이터 17 May 2023

다음영상

[기독교교양사전 365] #37 책임 (이종원 교수, 계명대학교)
14 Jun 2023
[기독교교양사전 365] #37 책임 (이종원 교수, 계명대학교)
온맘 큐레이터 · 10 시청

[기독교교양사전 365] #12 성서 (민경식 교수, 연세대학교)

3 시청

기독교교양사전 365 프로젝트의 뜻에 동참하시고자 하는 분들은 아래의 계좌로 후원하실 수 있습니다. 후원하실 때에 '성함(365)', 예를 들어 홍길동(365)라고 써주시면 됩니다.

카카오뱅크 79791050098(신익상, 한국기독교교양학회)

#성경, #기독교양, #365프로젝트, #기독교교양사전, #민경식교수


*성서

1. 성경과 성서

통상적으로 성경은 기독교라는 종교의 ‘경전’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때로는 성서라는 단어가 사용되기도 합니다. 이와 관련하여 종종 이런 질문을 받고는 합니다.

“성경이 맞습니까? 성서가 맞습니까?”

왠지 성경은 조금 더 거룩한 느낌이 있고, 성서는 조금 더 학술적인 느낌이 있나요? 그래서 ‘연구’ 앞에는 ‘성서’를 붙여서 ‘성서연구’라고 하고, ‘공부’ 앞에는 ‘성경’을 붙여서 ‘성경공부’라고 하는 게 아닌지 모르겠습니다.

‘성경’(聖經)은 원래 불교 용어였습니다. 기독교가 한반도에 들어오기 전에 불교의 경전을 가리켜 ‘거룩한 경전’, 즉 ‘성경’이라고 하였습니다. 가톨릭 선교사들이 개신교 선교사들보다 약 100년 먼저 우리 땅에 들어왔지만, 기독교의 경전은 개신교 선교사들과 함께 우리에게 본격적으로 소개되었습니다. 기독교의 경전을 처음으로 우리말로 번역한 분은 중국에서 활동하시던 스코틀랜드 출신의 선교사 존 로스(John Ross)입니다. 우리가 잘 아는 두 분의 선교사 언더우드(Horace Grant Underwood)와 아펜젤러(Henry Gerhard Appenzeller)가 1885년에 우리 땅을 밟았는데, 그리고 한 해 전에 알렌 선교사가 한반도에 들어왔는데, 그 전에, 1882년에 로스 선교사는 《누가복음》을 출판하면서 『예수셩교누가복음젼셔』라고 제목을 붙였습니다. 그리고 5년 뒤, 신약 전체의 번역을 마치고, 『예수셩교젼셔』라는 제목으로 출판하였습니다(1887년). 그러니까 그때는 ‘성경’이 아니라, 거룩한 가르침을 의미하는 ‘성교’(聖敎)라는 표현이 사용된 것이지요. 그러나 오늘날 한국교회에서는 성교라는 표현이 더 이상 일반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습니다.

기독교의 경전에 ‘성경’이라는 표현이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것은 1911년입니다. 이때가 우리말 신구약 성경이 완역된 해입니다. 로스의 번역이 사역(私譯)이라면, 이 새로운 번역은 공역(公譯)입니다. 19세기말에 내한선교사들을 중심으로 성경번역자회가 조직되었고, 여기서 신약이 번역되어 1900년에 『신약젼셔』라는 이름으로 출판되었습니다. 그리고 10여 년 뒤, 1911년에 구약이 번역되어 『구약젼셔』라는 이름으로 출판되었는데, 이때 신약과 구약을 합본하여 『셩경젼셔』라고 하였습니다. 오늘날 한국교회가 기독교의 경전을 ‘성경’ 또는 ‘성서’라고 부르는 것이 여기에 기인하는데, 어쨌든 기독교 경전의 공식적인 명칭은 『성경전서』(聖經全書)입니다. 이것을 줄여서 성경이라고 할 수도, 또 성서라고 할 수도 있습니다.


2. 바이블

영어로는 성경을 흔히 ‘바이블’ 또는 ‘홀리 바이블’이라고 합니다. 바이블이라는 말은 그리스어 ‘비블로스’(βίβλος)에서 나온 말입니다. 바이블은 특정한 책, 즉 기독교의 경전인 ‘성경’을 가리키지만, 그리스어 비블로스는 ‘책’이라는 뜻의 일반명사입니다. 그런데 이것이 처음부터 일반명사였던 것은 아닙니다. 비블로스는 원래 도시 이름을 가리키는 고유명사였습니다. 베이루트의 북쪽 약 40킬로미터 지점에 위치한 고대 페니키아의 해안도시 이름이 비블로스입니다. 그런데 이 지역은 당시 ‘파피루스’라는 식물이 많이 자랐다고 합니다. 파피루스가 많이 났으니, 이를 이용한 용지 생산이 활발하였습니다. 종이가 만들어지기 전에, 또 양피지가 널리 사용되기 전에, 파피루스로 만든 용지가 사용되었는데, 이 용지 또한 ‘파피루스’라고 부릅니다. 그리스-로마 시대에 보편적으로 사용된 용지가 바로 파리루스입니다. 어쨌든 이곳이 파피루스 생산의 중심지였으니, 의심할 여지도 없이 책도 많이 만들어졌을 것입니다. 그래서 고유명사인 이 지역의 이름이 ‘책’이라는 일반명사가 되었고, 고대사회에서 책의 대표자격인 “성경”에 이 이름이 붙었습니다. 결국 오늘날 우리가 “바이블”이라고 부르는 단어는 비블로스라는 도시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고, 또한 파피루스와 관련이 있습니다. ‘책’을 가리키는 또 다른 그리스어 ‘비블리온’(βιβλίον)도 역시 비블로스에서 나왔다고 쉽게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3. 캐논(Canon)

성경을 또한 ‘캐논’(canon)이라고도 부릅니다. 오늘날 캐논은 법전, 규범, 표준이라는 뜻으로 사용됩니다. 그리고 또한 ‘정경’, 즉 ‘교회의 권위로 인정을 받은 공적인 문서’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외경과 반대되는 개념으로 ‘구약과 신약을 총칭’하는 용어입니다.

영어의 캐논은 그리스어의 카논(κανών)에서 왔습니다. 그리스어 카논은 셈(족)어 계열 언어에서의 ‘카네’에서 왔습니다. 카네는 갈대를 뜻합니다. 흔히 측량 작업을 하는 데에 갈대가 사용되었으며, 그래서 갈대에 ‘척도’, 더 나아가서 ‘표준’이라는 뜻이 포함되었습니다. 신약성경이 기록되던 시대에 그리스어 카논도 이러한 뜻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고린도후서 10:13에 κανών이 사용되는데, 본문은 이러합니다. “우리는 마땅한 정도 이상으로 자랑을 하려고 하지 않습니다. 우리가 여러분에게까지 다다른 것도,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정하여 주신 한계 안에서 된 일입니다.” 여기서 “한계 안에서”로 번역된 것이 바로 “κατὰ τὸ μέτρον του⃔ κανόνος”입니다. 문자적으로는 “표준의 분량(또는 척도)에 따라서”이며, 이것을 조금 풀어서 해석하면 “허용된 규칙의 범위 안에서” 입니다. 말하자면 여기서는 κανών이 허용된 규칙, 즉 규범의 뜻으로 사용된 셈입니다. 갈라디아서도 6:16에도 κανών이 사용되는데, “이 표준을 따라 사는 사람들에게와 하나님의 백성 이스라엘에게 평화와 자비가 있기를 빕니다.”라고 되어 있는데, 여기서 ‘표준’으로 번역된 것이 바로 κανών입니다. 아직까지는 기독교의 경전을 가리키는 단어는 아닙니다. 4세기경이 이르러서야 κανών은 기독교의 경전을 가리키는 단어로 사용이 됩니다. 초기기독교에서는 구약 39권과 신약 27권이 바로 기독교 신앙의 표준이라고 인식되었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오늘날 영어 canon 역시 같은 의미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4. 성경의 정경과 외경

초기 기독교에는 이 66권의 신구약 책들 외에도 많은 문헌들이 있었는데, 이 66권만이 우리 신앙의 기준이며, 이 66권만이 정경, 즉 캐논으로 이해되었습니다. 여기에 속하지 않는 것들을 외경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구약의 외경과 신약의 외경 개념은 조금 다릅니다.

구약의 외경이라고 할 때에는, 70인역에는 있지만 마소라 텍스트에 없는 책들을 외경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70인역이란, 그리스어를 모국어로 하게 된 디아스포라 유대인들을 위해서 히브리어 구약성경을 그리스어로 번역한 것입니다. 토비트, 유딧, 에스델, 지혜서, 집회서, 바룩 등인데, 가톨릭교회에서는 이를 제2성경이라고도 합니다.

반면 신약의 외경은 초기기독교 문헌 가운데 정경에 포함되지 않은 문서들을 가리킵니다. 잘 알려진 것으로는 도마복음이라든지 디다케가 있지요. 그 외에도 수많은 외경 복음서들과 외경 행전들이 있습니다. 2세기, 3세기, 4세기, 심지어는 그 이후까지도 어느 지역에서는 이것들이 거룩한 문서로 인정을 받기도 하였습니다. 그러다가 서서히 공교회에서 인정하는 신약 책들이 27권으로 제한이 되면서(이것을 ‘정경화’라고 합니다.) 나머지 책들은 외경, 즉 경전 밖의 경전이 되었습니다.

성경이 어떤 과정을 거쳐서, 언제 정경으로 정착되었는지 궁금하지요? 이건 다음 기회에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더보기
0 의견 sort 정렬기준

다음영상

[기독교교양사전 365] #37 책임 (이종원 교수, 계명대학교)
14 Jun 2023
[기독교교양사전 365] #37 책임 (이종원 교수, 계명대학교)
온맘 큐레이터 · 10 시청